이 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자원은 꽃게, 백합, 대하, 동죽, 죽합등이며 연간 23억원의 어민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갯벌의 환경적 가치
갯벌은 육상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천에 의하여 부유물질의 농도가 높은 물이 갯벌에 유입될 때에는 갯벌의 가장자리에서
자라고 있는 식생이 유속을 떨어뜨려 부유물질과 그 밖의 여러 물질이 이곳에 퇴적되고
갯벌속에 살고 있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하여 화학물질의 분해가 활발히 진행되어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일본의 이시오우 조간대를 대상으로 한 갯벌의 오염정화능력 실험에 의하면 이 갯벌전체
(10㎢)가 갖는 정화능력은 25.3㎢의 면적을 가진 인구 10만명 정도의 도시가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하수종말처리시설에 상당한다고 한다.
미국의 오넘교수는 0.01㎢의 갯벌이 BOD 21.7㎏을 정화하는 것으로 분석 하였다. 이 수치를 우리나라의
새만금지구 갯벌(208㎢)에 응용하면 1일 10만톤 규모의 처리장 40개의 정화능력을 갖는 것이다.
>광활한 평야에서 펼쳐지는 전국 유일의 비경인 지평선을 주제로 전국적인 문화행사로 추진,
관광김제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김제 역사의 숨결이 살아 숨쉬는 문화유산과 최상의 품질을
자랑하는 김제쌀의 브랜드화를 추진하며 추수감사제의 성격을 부여 역사적 정통성을 계승하고
시민화합을 강화하기 위하여 실시함